일본의 ESG 대응 전략 분석과 시사점
페이지 정보
본문
목차
요 약
Ⅰ. 일본 정부의 ESG 정책 대응
1. ESG 정의와 국제적 논의
2. 일본 정부의 ESG 정책 대응
Ⅱ. 일본 기업의 ESG 대응 전략 및 사례 분석
1. 일본 기업의 ESG에 대한 인식과 대응
2. 일본 기업의 대응 사례 분석(미쓰비시상사)
Ⅲ. 글로벌 투자기업의 ESG 요구와 일본 기업의 대응
1. 글로벌 투자기업의 ESG 요구 내용
2. 기업-투자자 간 대화(engagement) 대응 현황
Ⅳ. 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일본의 ESG 정책 특징과 전망
2. 시사점
요약
□ (ESG 확산) 비재무적 요소인 ESG*에 대한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이 기업의 경영과 성장을 위해 필요하다는 인식 세계적으로 확산
* ESG는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통칭하며, 2006년 UN의 책임투자원칙(PRI)이 발표된 이후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
◦ 일본에서는 UN의 책임투자원칙(2006),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2015), 파리협정(2015), TCFD* 권고안(2017) 발표로 ESG에 대한 기업의 관심과 대응이 증폭
*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공개 목적으로 2015년 만들어진 협의체
◦ 2020년 일본의 ESG 투자액이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8.1%(2.8조 달러)로 미국(48.4%), 유럽(34%)과 비교해 낮지만, 2016년 대비 성장률은 506%로 높은 성장세를 시현(GSIA, 2020)
□ (정부 정책) 일본 정부는 ESG 확대를 위해 유럽의 의무화 조치와는 다르게,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사례집을 통해 기업 대응을 촉진
◦ 일본 정부는 ESG 중 주로 G와 E를 중심으로 대응을 강화
* 환경(E): 경제산업성(2018년)과 환경성(2019년)「TCFD 가이던스」
* 사회(S): 경제산업성(2017년)「다양성2.0행동 가이드라인」
* 지배구조(G): 금융청「일본판 스튜어드십 코드」(2014년), 경제산업성 「가치협력창조 가이던스」(2017년), 「기업지배구조시스템 가
이드라인」(2018년), 「사외이사 가이드라인」(2020년) 등 발표
◦ 향후 코로나 팬데믹에 따라 일본 정부와 일본 기업 모두 ESG 중에서도 S(사회)에 대한 관심과 대응이 확대될 예상
- 코로나 이후 투자자들은 ESG 항목 중 노사관계(해고, 급여축소), 직장환경(재택근무, 감염위험), 공급망 관리 등의 관심 증가
□ (기업 대응) ESG 대응이 자사의 이익 향상과리스크에 대한 안정성 제고로 이어진다는 인식 확산이 일본 기업의 대응을 촉진
◦ 일본 기업은 ESG 비재무 정보와 재무 정보를 포함한 통합보고서를 발행하는 사례*가 증가
* 2020년 통합보고서 발행 기업 수는 579개사로 2010년 대비 25배 증가(KPMG, 2021)
◦ 단, 비재무정보 공시의 충분성에 대해 기업과 투자자 간의 인식 차이가 커서, 통합보고서의 내용과 관련된 개선이 필요
□ (ESG 투자) 글로벌 투자기업은 ESG에 대한 대응, 정보 공시 등의 세부 평가기준*을 토대로 기업가치를 판단하여 투자를 결정
* 글로벌 투자기업의 ESG 평가 기준은 △ 기업의 ESG 과제와 위험이 명시되었는가 △ ESG 목표가 기업의 미래핵심 사업기회로 연결되는가 △ ESG 대응 상황을 공시하고 있는가를 주목
◦ 일본에서는 2014년 스튜어드십 코드* 책정 이후 투자자-기업 간의 대화(engagement)가 증가
* 스튜어드십 코드는 장기적 차원의 기업가치 향상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목표로 하는 기관 투자자의 역할 규범이라 할 수 있음.
- 2020년 도쿄증권거래소 1부 상장기업의 70% 이상이 투자자에 대해 기업이념을 설명하고 장기비전을 제시
□ (시사점) ESG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인식 제고와 정책 대응이 요구
◦ (정부) 기업의 ESG 정보공개가 정착되기까지 모범사례 추가와 함께 지속적인 개정작업이 요구, 아울러 기업‧투자자‧소비자 등을 대상으로 설명회, 포럼, 교육 등을 지원할 필요.
◦ (기업) ESG 경영과 정보공개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응을 강화
- 최근 ESG 평가에서 공급망 관리가 중시되고 있으므로, 대기업과의 상생협력을 통한 중소기업의 ESG경영 전환이 요구
첨부파일
- 이전글ESG의 부상, 기업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21.02.23
- 다음글지속가능금융의 의의와 통계 현황 22.05.23
-
원하시는 정보가 없으신가요?
친환경 기업 전문가가 도와드리겠습니다. -
에코벨에서는 빅데이터 기반 AI 매칭 시스템으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자사의 정보가 잘못되었거나 아직 등록되어있지 않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