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리포트

일본의 ESG 대응 전략 분석과 시사점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03회 작성일 21-09-27 16:41

본문

b71e77e0d21b30ecaefce43c43bd25bb_1681352655_2029.png
 


목차

요 약


Ⅰ. 일본 정부의 ESG 정책 대응
1. ESG 정의와 국제적 논의
2. 일본 정부의 ESG 정책 대응


Ⅱ. 일본 기업의 ESG 대응 전략 및 사례 분석
1. 일본 기업의 ESG에 대한 인식과 대응
2. 일본 기업의 대응 사례 분석(미쓰비시상사)


Ⅲ. 글로벌 투자기업의 ESG 요구와 일본 기업의 대응
1. 글로벌 투자기업의 ESG 요구 내용
2. 기업-투자자 간 대화(engagement) 대응 현황


Ⅳ. 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일본의 ESG 정책 특징과 전망
2. 시사점


요약


□ (ESG 확산) 비재무적 요소인 ESG*에 대한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이 기업의 경영과 성장을 위해 필요하다는 인식 세계적으로 확산
    * ESG는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통칭하며, 2006년 UN의 책임투자원칙(PRI)이 발표된 이후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
◦ 일본에서는 UN의 책임투자원칙(2006),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2015), 파리협정(2015), TCFD* 권고안(2017) 발표로 ESG에 대한 기업의 관심과 대응이 증폭
    *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공개 목적으로 2015년 만들어진 협의체
◦ 2020년 일본의 ESG 투자액이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8.1%(2.8조 달러)로 미국(48.4%), 유럽(34%)과 비교해 낮지만, 2016년 대비 성장률은 506%로 높은 성장세를 시현(GSIA, 2020)


□ (정부 정책) 일본 정부는 ESG 확대를 위해 유럽의 의무화 조치와는 다르게,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사례집을 통해 기업 대응을 촉진
◦ 일본 정부는 ESG 중 주로 G와 E를 중심으로 대응을 강화
 * 환경(E): 경제산업성(2018년)과 환경성(2019년)「TCFD 가이던스」
 * 사회(S): 경제산업성(2017년)「다양성2.0행동 가이드라인」
 * 지배구조(G): 금융청「일본판 스튜어드십 코드」(2014년), 경제산업성 「가치협력창조 가이던스」(2017년), 「기업지배구조시스템 가
이드라인」(2018년), 「사외이사 가이드라인」(2020년) 등 발표
◦ 향후 코로나 팬데믹에 따라 일본 정부와 일본 기업 모두 ESG 중에서도 S(사회)에 대한 관심과 대응이 확대될 예상
  - 코로나 이후 투자자들은 ESG 항목 중 노사관계(해고, 급여축소), 직장환경(재택근무, 감염위험), 공급망 관리 등의 관심 증가


□ (기업 대응) ESG 대응이 자사의 이익 향상과리스크에 대한 안정성 제고로 이어진다는 인식 확산이 일본 기업의 대응을 촉진
◦ 일본 기업은 ESG 비재무 정보와 재무 정보를 포함한 통합보고서를 발행하는 사례*가 증가
    * 2020년 통합보고서 발행 기업 수는 579개사로 2010년 대비 25배 증가(KPMG, 2021)
◦ 단, 비재무정보 공시의 충분성에 대해 기업과 투자자 간의 인식 차이가 커서, 통합보고서의 내용과 관련된 개선이 필요


□ (ESG 투자) 글로벌 투자기업은 ESG에 대한 대응, 정보 공시 등의 세부 평가기준*을 토대로 기업가치를 판단하여 투자를 결정
    * 글로벌 투자기업의 ESG 평가 기준은 △ 기업의 ESG 과제와 위험이 명시되었는가 △ ESG 목표가 기업의 미래핵심 사업기회로 연결되는가 △ ESG 대응 상황을 공시하고 있는가를 주목
◦ 일본에서는 2014년 스튜어드십 코드* 책정 이후 투자자-기업 간의 대화(engagement)가 증가
    * 스튜어드십 코드는 장기적 차원의 기업가치 향상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목표로 하는 기관 투자자의 역할 규범이라 할 수 있음.
  - 2020년 도쿄증권거래소 1부 상장기업의 70% 이상이 투자자에 대해 기업이념을 설명하고 장기비전을 제시


□ (시사점) ESG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인식 제고와 정책 대응이 요구
◦ (정부) 기업의 ESG 정보공개가 정착되기까지 모범사례 추가와 함께 지속적인 개정작업이 요구, 아울러 기업‧투자자‧소비자 등을 대상으로 설명회, 포럼, 교육 등을 지원할 필요.
◦ (기업) ESG 경영과 정보공개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응을 강화
  - 최근 ESG 평가에서 공급망 관리가 중시되고 있으므로, 대기업과의 상생협력을 통한 중소기업의 ESG경영 전환이 요구



출처 :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indReport/actionIndReportDetail.do?SITE_NO=3&MENU_ID=280&CONTENTS_NO=1&pHotClipTyName=DEEP&pRptNo=13045#;


첨부파일

원하시는 정보가 없으신가요?
친환경 기업 전문가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에코벨에서는 빅데이터 기반 AI 매칭 시스템으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자사의 정보가 잘못되었거나 아직 등록되어있지 않습니까?
문의하기
팝업 닫기
회원가입

또는

개인 회원가입 기업 회원가입

기업회원은 SNS계정 회원가입이 불가합니다. ⓘ